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close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종합
행정
의회
전국
경제
과학
사회
사건사고
교육
체육
문화
문화
연예
오피니언
팔각등
기고
영상뉴스
영상
포토
전국종합
종합
행정
의회
전국
경제
과학
사회
사건사고
교육
체육
문화
문화
연예
오피니언
팔각등
기고
영상뉴스
영상
포토
전국종합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종합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오피니언
영상뉴스
전국종합
기사제보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경제
과학
과학
다음
이전
과학
배터리 노화“산소 원천 차단”...장거리 주행 배터리 수명 2.8배↑
장거리 주행 전기차 배터리인 ‘고전압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고 폭발 위험은 줄이는 젤 형태 물질이 개발됐다. 고전압 배터리 ‘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 생성을 아예 차단하는 물질로, 이 물질을 적용하자 배터리 수명은 2.8배 늘고, 부풀어 오름도 1/6 수준으로 줄었다.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송현곤 교수팀은 한국화학연
박태환
2025.11.05 10:23
과학
㈜디아이씨, UNIST에 1억 기부…“AI 인재, 울산서 키우자”
UNIST(총장 박종래)는 4일 자동차 동력전달장치 전문기업 ㈜디아이씨(회장 김성문)로부터 발전기금 1억 원을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기부는 최근 박 총장 사재 출연으로 시작된 ‘함께해U 2050’ 발전기금 캠페인에 김성문 회장이 호응하며 이뤄졌다. 김 회장이 울산 지역 과학기술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해 개인 자산
박태환
2025.11.04 12:27
과학
르네상스 화가들의 ‘소실점’, 자율주행차 눈 밝힌다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차가 주변 환경을 더 정확하게 볼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나왔다. 그림에 원근감을 부여하는 기하학적 장치인 ‘소실점’을 활용한 기술이다.UNIST 인공지능대학원 주경돈 교수팀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정보의 원근 왜곡 문제를 보완하는 인공지능 모델인 ‘VPOcc’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자
박태환
2025.10.15 09:21
과학
UNIST ‘천원의 아침밥’, NH투자증권 1800만원 후원
UNIST(총장 박종래)가 NH투자증권으로부터 '천원의 아침밥' 사업 지원을 위한 발전기금 1,800만 원을 기탁받았다.이번 기탁은 과학기술 인재들의 건강 증진과 학생 복지 향상을 돕고,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도모하기 위한 취지다. ‘천원의 아침밥’은 학생들이 단돈 1천 원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박태환
2025.10.14 18:47
과학
UNIST·서울대·포스텍, ‘꿈의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열화 원인 규명
UNIST(총장 박종래) 에너지화학공학과 김동혁 교수, 서울대(총장 유홍림) 첨단융합학부 정성균 교수팀, 그리고 POSTECH(총장 김성근) 홍지현 교수팀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기반 전고체전지의 양극·전해질 계면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고, 전지 열화 거동을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차세대 전기차와 대용량
박태환
2025.10.14 14:08
과학
UNIST, '데이터 기반 투자' 퀀트 챔피언십 세계 1위
한국인 대학생이 수학과 데이터로 세계 금융 투자 대회를 제패했다. UNIST(총장 박종래) 산업공학과 김민겸 학생이 미국 글로벌 자산운용사 월드퀀트(WorldQuant)가 주최한 ‘제5회 국제 퀀트 챔피언십(International Quant Championship, IQC)’에서 세계 정상에 올랐다. 12일(현지시간)
박태환
2025.10.14 00:14
과학
더 진짜 같은 인공 미니 신장 나왔다!
사람 신장의 배관망 구조와 기능을 더 닮은 인공 미니 신장이 나왔다.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와 POSTECH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팀은 신장의 연결 구조와 세포 기능을 재현한 인공 미니 신장(신장 오가노이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사람 신장은 ‘정화 장치’인 네프론 약 100만 개로 이뤄져 있다.
박태환
2025.09.11 10:38
과학
햇빛으로 바닷물 소금기 뺀다! .. 태양열 해수 담수화 기술 개발
햇빛을 열로 바꾸고 그 열로 바닷물을 증발시켜 담수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현 교수팀은 표면에 소금이 끼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태양열 해수 증발 장치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장치에서 증발한 수증기를 응축하면 먹는 물을 얻을 수 있다. 전기가 필요 없고, 물이 증발한 뒤 남은
박태환
2025.08.21 09:21
과학
UNIST-고려아연 'AI 스마트 공정' 인재 300명 양성 추진
UNIST(총장 박종래)와 고려아연이 산업현장에 특화된 AI 인재 양성에 나선다. 양 기관은 11일, 고려아연 임직원의 전사적 AI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고려아연이 추진 중인 ‘AI 기반 스마트 제련소’ 전략의 일환이다. UNIST는 제조업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실무형 AI 인재를
박태환
2025.08.12 10:28
과학
울산시, 인공지능(AI) 수도 도약 '박차'
울산시가 ‘인공지능(AI) 수도’ 도약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울산시는 8월 12일 오후 3시 시청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울산 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과 함께 제1차 회의를 열고, 울산형 인공지능 전략 실행을 위한 민관협력(거버넌스) 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하는 ‘울산 인공지능위원회’는 제조·에너지
박태환
2025.08.12 08:30
과학
유니스트기술지주, ‘120억 규모’ 모태펀드 운용사 선정 “울산 기술창업 판 키운다”
UNIST(총장 박종래)는 유니스트기술지주(주)(대표 김영식)가 모태펀드 공공기술사업화 분야 최종 운용사(GP)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운용하는 펀드는 120억 원 규모다. 이 중 60억 원은 정부 모태펀드가 출자하며, 나머지 60억 원은 이미 확정된 출자자들이 함께할 예정이다. 유니스트기술지주가 모태펀드 단독 운용사로
박태환
2025.07.02 09:22
과학
울산시, 생명건강(바이오헬스) 해외진출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울산시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생명건강(바이오헬스) 기업의 세계적(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U)-생체(바이오)·디지털 건강관리(헬스케어) 산업 해외진출 지원 사업’을 올해도 본격 추진한다.이에 따라 3월 21일부터 4월 4일까지 참여기업을 모집하며, 선정된 기업은 해외 창업 상담(멘토링) 및 세계 최대 생
박태환
2025.03.21 08:18
과학
울산시,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실증 지원 연합체 기업 모집
울산시는 지역 제조업의 인공지능(AI)융합 기반 조성을 위한 ‘광역연계형·확산거점형 인공지능 해결책(솔루션) 개발·실증 지원사업’에 참여할 연합체(컨소시엄) 기업을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전담하는 ‘제조업 인공지능(AI)융합 기반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지역
박태환
2025.02.27 08:26
과학
0.05%만 더해도 수명 성능 50% 이상 개선...유기태양전지 첨가제 개발
국제공동연구진이 유기태양전지의 고질병인 수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첨가제(가교제)를 개발했다. 이 가교제를 0.05%만 넣으면 수명 성능이 59% 이상 개선된 유기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유기태양전지의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UNIST(총장 박종래) 화학과 김봉수 교수 연
박태환
2025.02.26 08:05
과학
‘인공태양’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000배↑ AI 개발
핵융합로 안의 플라즈마 상태를 기존보다 1,000배 빠르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됐다. UNIST 원자력공학과 이지민·윤의성 교수팀은 플라즈마 상태를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의 해를 가속화 해 구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모델 ‘FPL-net’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핵융합 발전, 일명 '인공태양
박태환
2025.02.26 07:59
과학
폐암 돌연변이, 단 몇 방울의 피로 잡아낸다
국내연구진이 단 몇 방울의 혈액만으로 폐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검사(NGS 액체생검)로는 찾아내기 어려웠던 초기 폐암까지 진단할 수 있어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팀은 전처리하지 않는 극미량의 혈장(혈액에서 혈구가 가라앉은 누런 액체)으로도
박태환
2025.02.13 21:16
과학
0.01 나노미터 정밀 조절로 자연계 0.015%뿐인 중수소 골라낸다
다공성 물질의 기공을 0.01 나노미터(10-9m) 단위로 조절하는 기술이 나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자연계 전체 수소 중 0.015%만 존재하는 데다 일반 수소와 성질이 비슷해 분리가 까다로운 중수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다.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핵융합발전, 반도체공정 등에 쓰일 수 있는 핵심 자원이다.
박태환
2025.02.12 08:28
과학
‘공기’로 전기 만드는 배터리, 첨가제 넣어 더 효율적으로 오래 쓴다
공기를 전극으로 쓰는 리튬공기배터리의 수명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첨가제가 개발됐다.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보다 용량이 최대 5배 이상 큰 리튬공기배터리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 곽원진 교수팀은 아주대 화학과 서성은 교수팀, 미국 오벌린대학교 슈밍첸( Shuming Chen)교수팀과 공동으로
박태환
2025.02.10 08:33
1
|
2
|
3
|
4
|
5
내용
내용